PDF available here: http://www.fishkorea.or.kr/bbs/download ... o=0&page=1
Alternate link: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 ... ey=3589297
Kim & Park wrote:ABSTRACT
The anato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 being related to the habitat environment and ecological habit, was carried out using a stereomicroscopy and digital camera. The paired olfactory organs are situated at the dorsal part of the snout, and consisted of two opening (anterior and posterior nostrils) and the olfactory chamber. The tubular anterior nostril is located between the tip of upper lip and the nasal barbel. The posterior nostril flat to the surface is adjacent entirely to the basement of the nasal barbel. The olfactory chamber has a rosette structure with 22~24 lamellae of linguiform, arranged transversely and radially from the medium raphe. These results may prove that L. somjinensis is dependent on olfaction, related to the hiding, the feeding and the nocturnal lifestyle in rapids.
- Key words: Liobagrus somjinensis, olfactory organ, anatomy, tubular nostril, lamellae
김현태 ·박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2018
한국어류학회지, 30권 1호
pp.65-68
요 약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 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 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 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 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찾아보기 낱말 :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 로제트 구조, 서식처, 생태적 습성